명상 | 마음챙김 알아차림/명상안내자의 독서6 디가 니까야 (D1) | 범망경 요약(5) | 애매모호한 자들 명상 안내자의 독서 | 초기경전 요약, 디가 니까야 요악, 니까야 요약, 범망경 요약, 초기불교 이해 [범망경의 어원적 의미] 빠알리어 제목 : 브라흐마잘라 숫따(Brahmajala Sutta) 아래 세 단어의 합성어에요. Brahma : 범천 또는 거룩함 jala : 그물 Sutta : 실 또는 책 범망경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 본 경전의 말미에 그 이유를 이야기해요. 아난다 존자가 이 법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세존(부처)가 말하길 그물, 법의 그물, 범천의 그믈, 견해의 그물, 전쟁에서의 위없는 승리라고 말하면서 유래 되었어요. 범동경으로 한역(한자로 번역)되어 '장아함'의 21번째경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는데 장아함에서 범망경이 아닌 범동경으로 옮긴 것을 볼 떄 '장아함'의 역자(글을 번역한 .. 2024. 4. 14. 디가 니까야 (D1) | 범망경 요약(4) | 유한함과 무한함을 설하는 자들 명상 안내자의 독서 | 초기경전 요약, 디가 니까야 요악, 니까야 요약, 범망경 요약, 초기불교 이해 [범망경의 어원적 의미] 빠알리어 제목 : 브라흐마잘라 숫따(Brahmajala Sutta) 아래 세 단어의 합성어에요. Brahma : 범천 또는 거룩함 jala : 그물 Sutta : 실 또는 책 범망경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 본 경전의 말미에 그 이유를 이야기해요. 아난다 존자가 이 법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세존(부처)가 말하길 그물, 법의 그물, 범천의 그믈, 견해의 그물, 전쟁에서의 위없는 승리라고 말하면서 유래 되었어요. 범동경으로 한역(한자로 번역)되어 '장아함'의 21번째경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는데 장아함에서 범망경이 아닌 범동경으로 옮긴 것을 볼 떄 '장아함'의 역자(글을 번역한 .. 2024. 4. 14. 디가 니까야 (D1) | 범망경 요약(3) | 일부영속 일부비영속론자들 명상 안내자의 독서 | 초기경전 요약, 디가 니까야 요악, 니까야 요약, 범망경 요약, 초기불교 이해 [범망경의 어원적 의미] 빠알리어 제목 : 브라흐마잘라 숫따(Brahmajala Sutta) 아래 세 단어의 합성어에요. Brahma : 범천 또는 거룩함 jala : 그물 Sutta : 실 또는 책 범망경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 본 경전의 말미에 그 이유를 이야기해요. 아난다 존자가 이 법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세존(부처)가 말하길 그물, 법의 그물, 범천의 그믈, 견해의 그물, 전쟁에서의 위없는 승리라고 말하면서 유래 되었어요. 범동경으로 한역(한자로 번역)되어 '장아함'의 21번째경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는데 장아함에서 범망경이 아닌 범동경으로 옮긴 것을 볼 떄 '장아함'의 역자(글을 번역한 .. 2024. 4. 14. [디가니까야] 자아 이론 세상에는 이들 두 인간이 있나니 멸하는 것과 멸하지 않는 것이다. 모든 존재들은 멸하는 것이고 움직이지 않는 것은 멸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한다. 그런데 다른 최상의 인간이 있나니 이를 일러서 궁극의 자아라고 일컫는다. -바가왓기따 BG xv.16~17 -디가니까야(D1) p107 주석서 75 2024. 4. 7. 디가 니까야 (D1) | 범망경 요약(2) | 영속론자들 명상 안내자의 독서 | 초기경전 요약, 디가 니까야 요악, 니까야 요약, 범망경 요약 18가지 과거를 모색하는 자들 중 영속론자들 - 4가지 디가 니까야 (D1) / 초기불교연구원 / 각묵스님옮김 범망경 p103-116 범천의 그물 , 견해의 그물 Brahmajala Sutta(D1) 빠알리어 제목 : 브라흐마잘라 숫따(Brahmajala Sutta) 아래 세 단어의 합성어에요. Brahma : 범천 또는 거룩함 jala : 그물 Sutta : 실 또는 책 범망경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 본 경전의 말미에 그 이유를 이야기해요. 아난다 존자가 이 법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세존(부처)가 말하길 그물, 법의 그물, 범천의 그믈, 견해의 그물, 전쟁에서의 위없는 승리라고 말하면서 유래 되었어요. 범동경.. 2024. 4. 7. 디가 니까야 (D1) | 범망경 요약(1) | 명상 안내자의 독서 명상 안내자의 독서 | 초기경전 요약, 디가 니까야 요악, 니까야 요약, 범망경 요약 범망경 뜻, 범망경 전반부 요약 디가 니까야 (D1) / 초기불교연구원 / 각묵스님옮김 범망경 p79-102 범천의 그물 , 견해의 그물 Brahmajala Sutta(D1) 빠알리어 제목 : 브라흐마잘라 숫따(Brahmajala Sutta) 아래 세 단어의 합성어에요. Brahma : 범천 또는 거룩함 jala : 그물 Sutta : 실 또는 책 범망경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 본 경전의 말미에 그 이유를 이야기해요. 아난다 존자가 이 법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세존(부처)가 말하길 그물, 법의 그물, 범천의 그믈, 견해의 그물, 전쟁에서의 위없는 승리라고 말하면서 유래 되었어요. 범동경으로 한역(한자로 번역)되.. 2024. 4. 6. 이전 1 다음